본문 바로가기

기계설계-재료

기술자료들

 

. 나사 - 나사선을 따라 삼각이나 사각 단면의 홈을 낸 것

① 나사의 각부 명칭

㉠ 피치(pitch) : 나사산과 다음 나사산까지의 거리

㉡ 리드(lead) : 나사를 한 바퀴 돌릴 때 축 방향으로 움직인 거리

㉢ 나사의 크기 : 바깥지름으로 나타냄, 호칭 치수라고 함

② 나사의 종류

㉠ 나사의 위치에 따른 분류

- 수나사 : 원퉁의 바깥둘레에 깎여진 나사

- 암나사 : 물체의 안쪽 구멍에 깎여진 나사

㉡ 죔 방법에 따라 분류

- 오른나사 : 오른쪽으로 돌리면 죄어지는 나사, 대부분의 나사

- 왼나사 : 왼쪽으로 돌리면 죄어지는 나사, 특수부분 (예- 자전거의 왼쪽 페달)

㉢ 나사산의 모양에 따라 분류

- 삼각나사 : 결합용으로, 두 물체를 결합하는데 사용 (예- 볼트와 너트)

- 사각나사 : 전동용으로 힘을 전달

- 사다리꼴나사 : 전동용으로 운동을 전달 (예- 선반의 자동 이송 나사의 어미나사)

㉣톱니나사 : 한 방향으로 센 힘을 전달 (예- 바이스 (한 쪽 방향으로만 큰 힘을 전달))

㉤둥근나사 : 먼지나 모래가 들어가기 쉬운 곳에 사용 (예 - 백열전구)

④ 나사의 규격 : 나사산의 모양, 바깥지름, 피치, 길이 등이 한국산업규격(KS) 에 규정됨

 

나. 볼트와 너트

① 볼트

㉠ 둥근 강철 막대에 삼각 단면의 수나사를 깎은 것

㉡ 육각 볼트 : 머리가 육각형) 사각 볼트 : 머리가 사각형

② 너트

㉠ 볼트에 끼워 죄는 것으로 두꺼운 강판에 암나사를 깎은 것

㉡ 육각 너트 , 사각 너트

 

다. 핀과 키

① 핀 : 큰 힘이 걸리지 않는 부분을 고정하거나 결합시키는 기계 요소

② 핀의 종류

㉠ 평행 핀

- 형태 : 굵기가 일정한 둥근 막대 모양

- 용도 : 분해 조립을 하게 되는 2개 부품의 맞춤면의 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곳에 사용

㉡ 테이퍼 핀

- 형태 : 끝이 점점 가늘어지는 원뿔 막대 모양

- 용도 : 적은 하중의 축에 벨트 풀리, 핸들 등을 고정시키는 데 사용, 목재에 못을 박듯이 구멍에 박아 고정시킴

㉢ 분할 핀

- 핀을 꽂은 다음 끝을 벌려서 빠지지 않게 하는데 사용

- 용도 : 너트 등의 이완 방지 ; 너트, 머리핀, 수류탄 안 전핀 등에 사용

③ 키 : 바퀴나 핸들 등 회전하는 부품을 축에 고정시켜 회전축이 겉도는 것을 방지하는 데 이용되는 기계 요소

 

라. 축과 베어링

① 축 : 회전 운동으로 동력을 전달시킬 때 회전체의 중심막대, 여기에 벨트 풀리, 캠, 스프로킷, 기어 등을 끼워 동력전달

② 축의 종류

㉠ 차축 : 축은 고정되고 바퀴만 회전하는 축(자동차 바퀴)

㉡ 전동축 : 축과 바퀴가 함께 돌면서 동력을 전달하는 축 (전동기, 발전기의 축)

㉢ 크랭크축 : 직선 왕복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바꾸어 주는 축(내연기관)

③ 베어링 : 회전축 또는 왕복 운동을 하는 축을 지지하여 운동을 원활하게 하고, 축에 작용하는하중을 받쳐 주는 기계 요소

④ 베어링의 종류

- 미끄럼 베어링

: 면 접촉에 의하여 축을 받치는 베어링으로 축과 접촉하는 면이 넓어서 큰 힘에 견딜 수 있으나 동력의 손실이 크다 (저속 회전용)

- 구름 베어링

: 점 또는 선 접촉에 의하여 축을 받치는 베어링으로 마찰에 의한 동력 손실이 적어고속 회전을 하는 축에 적합하다

  예) 볼베어링, 롤러 베어링

 

마. 스프링

① 스프링 : 물체의 탄성으로서 충격을 흡수하거나 힘을 저장하는 데 사용하는 완충용 기계 요소

② 용도

- 완충용 : 자전거의 안장, 자동차의 바퀴, 침대의 매트 등

- 에너지 저장용 : 시계나 장난감의 태엽 등

- 측정용 : 용수철 저울

③ 모양에 따른 스프링의 종류

㉠ 코일 스프링

- 압축 코일 스프링 : 자전거의 안장, 침대, 의자 등 (충격 흡수)

- 인장 코일 스프링 : 자전거의 스탠드, 용수철 저울 (위치 고정)

㉡ 판 스프링 : 차량에 이용

㉢ 스파이어럴 스프링 : 얇고 긴 띠모양의 스프링 강을 맴돌이 모양으로 감은 것, 시계의 태엽, 완구 등에 이용

바. 브레이크

① 브레이크 : 운동하고 있는 물체를 마찰에 의하여 그 속도를 줄이거나 멈추게 하는 장치

② 브레이크의 종류

㉠ 블록 브레이크 : 브레이크 블록과 브레이크 드럼 사이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제동. (자전거, 기차 등에 이용)

㉡ 띠 브레이크 : 브레이크 드럼에 강제 띠를 감아서 제동. 자동차의 수동 브레이크

㉢ 원판 브레이크 : 축에 결합된 회전원판을 고정 원판에 접촉 때의 마찰력에 의해 제동. 자동차나 산업용 기계에 사용

 

출처:http://cafe.naver.com/llovestudy.cafe?iframe_url=/ArticleRead.nhn%3Farticleid=998

 

 
 

'기계설계-재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공유] 각종 재료 기호[ks규격 no]  (2) 2025.04.28
[공유] 적열취성, 청열취성  (0) 2025.04.25
[공유] 열처리-소르바이트  (0) 2025.04.24
[공유] 구리와 구리 합금  (0) 2025.04.23
[공유] 가단주철  (0) 2025.04.22